더 시스템

베리북, 2021

2 minute read

객관적으로 판단하자면 내가 지녔던 열정은 내가 거둔 성공에 따라 움직였다. 열정이 성공을 불러왔다기보다는 성공이 열정을 불러왔던 것이다. (중략) 그러니 당신이 성공으로 향하는 길을 계획하고 있다면 열정 따위는 잊어버려라.

패배자는 목표를 설계하고 승자는 시스템을 만든다.

막말로 목표 설정은 패배자들이나 하는 짓이다. 거의 그렇다. 예를 들어, 당신의 목표가 10kg 감량이라고 하자. 당신은 그 목표를 달성한다는 보장도 없지만, 달성할 때까지 늘 목표치에 미치지 못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즉, 목표 지향적인 사람은 항상 실패의 순간들을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말이다. 이런 생각은 사람을 짜증나고 지치게 한다. 점점 목표 달성이 힘들어지고 불편하게 느껴진다. 심하면 목표를 포기하기도 한다.

물론 목표를 달성하는 순간의 기분은 그야말로 끝내준다. 하지만 목표달성이란 곧 자신에게 목적의식과 방향성을 제시하던 무언가를 잃어버렸다는 말이기도 하다.

다이어트를 예로 들면, ’20kg 감량’은 목표지만 ‘올바른 식습관’은 시스템이다. (중략) 당신이 장기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 무언가를 매일 꼬박꼬박하는 것은 시스템이다. 반면에 특정한 어느 시기에 무언가를 달성하고자 기다리고 있다면 그것은 목표다.

시스템은 열정을 압도적으로 능가한다.

자신만의 리듬을 찾아라. 생산성을 극대화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해야하는 일과 정신상태를 맞추는 일이다. 예를 들어 아침에 눈을 뜰 때 내 머리는 편안하고 창의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중략) 오후 2시쯤 내 머리에서 나오는 아이디어는 죄다 어디서 베낀 듯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종종 누군가가 변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허락’이 전부일 때가 있다. (중략) 당신도 이미 하찮은 집안일이나 동료의 문제를 제쳐두고 당신의 욕구를 처리하고 싶어한다.

에너지를 기준으로 삼으면 복잡한 선택도 한결 수월해진다. 내가 말하는 에너지는 신체적이거나 정신적으로 당신의 기운을 붇돋아주고 즐겁게 해주는 무언가를 뜻한다. (중략) 에너지는 장기적인 관점과 큰 시야를 가지고 관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단순한 시스템을 더 잘 따르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중략) 단순화의 또 다른 큰 장점은 시간의 자유가 주어진다는 점이다. (중략) 단순화는 에너지의 자유를 선사함으로써 당신이 모든 다른 일들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타고난 수줍음을 자신감으로 포장하기 위해서, 나는 내가 잘 아는 사람 중에 자신감 넘치는 사람을 구체적으로 떠올린다. (중략) 더듬거리거나 우물거리는 말투를 비롯해 말의 흐름을 방해하는 습관은 고쳐야 한다. 그러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가장 빠르게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예전에 ‘음…’이나 ‘어…’하며 중얼거리던 부분을 차라리 침묵으로 대신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불편하지만 익숙해진다. 나 같은 경우에는 말을 꺼내기 전에 가능한 머릿속으로 완전한 문장을 만들어본다.

운동을 해야 하는데 너무 피곤하고 축 늘어져서 운동은 상상조차 하기 힘든 상황에서 내가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저히 못하겠다는 생각이 드는 일을 하는 대신에,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운동복을 입고 운동화 끈을 묶는다. 이때 중요한 점은 운동복과 신발을 다 착용했음에도 운동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착용했으니 무조건 운동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면 아예 운동복을 입을 마음조차 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단 운동복을 입고 운동화를 신으면 순식간에 재미있는 일이 벌어진다.

1년에 다섯번 정도는 헬스클럽에 가서 둘러보고 그냥 돌아오기도 한다. 하지만 돌아오는 길에 실패했다는 기분이 들지는 않는다.실패는 목표를 추가하는 사람에게나 해당하는 단어다. 만약 목표가 운동이라면 땀 한 방울 흘리지 않고 돌아오는 내가 실패자처럼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나는 목표가 아니라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은 틈을 용인한다. 원래 그렇게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시스템에서는 운동을 해도 성공한 것이고, 비록 운동을 하지 않고 돌아온다 해도 성공한 것이다.

인간은 늘 목표를 설정하고 싶어 한다. 우리의 뇌가 그렇게 생겨먹었다. 하지만 목표란 당신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가졌을 때에만 의미가 있다.

Categories:

Updated: